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기내 보조배터리 반입 기준 | mAh 용량별 허용 여부

by happy0201 2025. 3. 27.

 

비행기를 탈 때 보조배터리 반입이 가능한지, 또 용량 제한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한 분들이 많습니다.
보조배터리는 리튬이온 배터리 특성상 안전상 이유로 반입이 엄격하게 제한되며, 반드시 기내에만 들고 탑승할 수 있습니다.
오늘은 기내 보조배터리 반입 기준과 용량(mAh)에 따른 허용 여부, 항공사별 조건, 반입 시 주의사항까지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.

목차

  1. 보조배터리는 왜 위탁수하물에 넣으면 안 될까?
  2. mAh(용량)별 보조배터리 기내 반입 기준
  3. 반입 가능 개수는 몇 개까지?
  4. 항공사별 보조배터리 반입 규정 예시
  5. 기내에서 보조배터리 사용해도 될까?
  6. 보조배터리 반입 실수 사례
  7. 마무리

1. 보조배터리는 왜 위탁수하물에 넣으면 안 될까?

리튬이온 배터리는 과열되거나 충격을 받으면 화재나 폭발 위험이 있기 때문에,
화물칸(위탁수하물)에 넣을 경우 사고 시 대응이 어렵습니다.
따라서 항공 규정상 모든 리튬배터리 제품은 기내 반입만 가능하며 위탁수하물에는 절대 넣을 수 없습니다.

2. mAh(용량)별 보조배터리 기내 반입 기준

 

보조배터리는 Wh(와트시)를 기준으로 분류되며, 일반적으로 전압(V)은 3.7V로 계산합니다.
Wh 계산법: Wh = (mAh × V) ÷ 1000

구분 용량 기준 환산 예시 (3.7V) 기내 반입 여부 조건
100Wh 이하 약 27,000mAh 이하 20,000mAh = 74Wh ✅ 가능 별도 승인 불필요
100~160Wh 약 27,000~43,000mAh 30,000mAh = 111Wh ⚠️ 조건부 가능 항공사 사전 승인 필요
160Wh 초과 약 43,000mAh 초과 50,000mAh = 185Wh ❌ 불가 반입 금지

3. 반입 가능 개수는 몇 개까지?

  • 100Wh 이하: 일반적으로 2~4개까지 기내 반입 가능
  • 100~160Wh: 2개 이하 가능 (사전 승인 필수)
  • 160Wh 초과: 모든 항공사에서 반입 불가

💡 팁: 보조배터리 표면에 Wh 또는 mAh 용량 표기가 반드시 있어야 하며,
표기되지 않으면 검색대에서 반입이 거부될 수 있습니다.

4. 항공사별 보조배터리 반입 규정 예시

항공사 100Wh 이하 100~160Wh 160Wh 초과
대한항공 최대 4개 사전 승인 시 2개 불가
아시아나항공 최대 4개 사전 승인 필요 불가
제주항공 2개까지 사전 승인 필요 불가
티웨이항공 2개까지 사전 승인 필요 불가

5. 기내에서 보조배터리 사용해도 될까?

  • 이륙 및 착륙 시에는 사용 금지
  • 고열·부풀음 감지 시 즉시 사용 중지
  • 좌석 내 콘센트 사용 시 정품 케이블 권장

6. 보조배터리 반입 실수 사례

  • 위탁수하물에 넣었다가 공항에서 수거 요청받음
  • 용량 표기 없는 제품은 검색대에서 반입 거절
  • 고용량 제품(30,000mAh 이상)을 사전 승인 없이 가져왔다가 압수됨

7. 마무리

보조배터리는 기내 반입만 가능하며, 용량에 따라 반입 여부가 달라집니다.
가장 안전한 선택은 100Wh 이하, 20,000mAh 내외 제품을 1~2개 정도를 지퍼백에 넣어 들고 타야 하며 기내 선반 보관은 금지되어 직접 소지하시거나 좌석 앞 주머니에 보관해야 합니다

  • 기내 반입 OK / 위탁수하물 절대 금지
  • 100Wh 이하: 대부분 문제 없음
  • ⚠️ 100~160Wh: 사전 승인 필수
  • 160Wh 초과: 반입 금지

탑승 전 반드시 보조배터리 표기 확인항공사별 규정 확인을 하시고, 안전하고 쾌적한 여행 되세요! ✈️🔋